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소식

2024년 10월 주택 통계 ( 1 ) : 주택건설

by 임행부 2024. 12. 7.
2024년 10월 기준 주택 시장 통계는 전반적으로 수도권과 지방 간 차별화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허가는 전년 동기 대비 전국적으로 감소했으나, 수도권은 10월에 137.4% 증가하며 반등했습니다. 착공은 전국적으로 15.2% 증가하며 건설 시장의 활기를 보였으나, 준공은 전월 대비 24.6% 감소했습니다. 아파트 중심의 시장 성장과 비아파트 감소 현상이 지속되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 내 인천과 경기 지역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보도자료)

[목차]
1. 2024년 10월 주택 통계 주요 지표
1-1. 주택 인허가 현황
1-2. 착공 현황
1-3. 분양과 준공

2. 수도권 vs 지방: 주요 동향 비교
2-1. 수도권 주택 시장의 성장세
2-2. 지방 주택 시장의 도전 과제

3. 아파트와 비아파트의 시장 흐름
3-1. 아파트 중심의 주택 시장
3-2. 비아파트 주택의 도전

4. 2024년 주택 시장의 미래 전망
4-1. 착공 증가와 준공 감소의 의미
4-2. 건설 시장이 나아갈 방향

5. 결론 및 요약 
5-1. 현재 주택 시장의 특징
5-2. 미래를 위한 전략

 

10월 주택 통계 (1)

 

주택 시장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축이며, 건설, 금융, 소비 등 다양한 산업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2024년 10월의 주택 시장은 수도권과 지방 간 차별화된 흐름과 아파트 선호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 등 주요 지표를 기반으로 시장 변화를 깊이 분석하고 향후 전망까지 제시합니다.


1. 2024년 10월 주택 통계 주요 지표

1-1. 주택 인허가 현황
2024년 10월 전국 주택 인허가는 26,136호로 전월 대비 41.4%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9.1% 감소하며, 시장 회복이 완전하지는 않음을 보여줍니다. 수도권은 전월 대비 137.4% 증가한 11,691호를 기록하며 강한 반등세를 보였고, 지방은 14,445호로 전월 대비 6.5% 증가에 그쳤습니다.

(인허가 현황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 지역별 세부 내용
① 서울: 10월 인허가는 2,955호로 전월 대비 64.9%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19.3% 감소했습니다.
② 인천: 전월 대비 1,030.2%라는 기록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수도권 성장의 주도 역할을 했습니다.
③ 지방: 전년 동기 대비 19.6%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인허가 현황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1-2. 착공 현황
전국 주택 착공은 24,170호로 전월 대비 15.2% 증가하며 활기를 띠었습니다. 수도권은 51.3% 증가한 13,835호로 성장세를 주도했으나, 지방은 12.7% 감소한 10,335호로 둔화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착공 현황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착공 현황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 유형별 착공
① 아파트: 10월 착공은 20,947호로 전월 대비 12.9% 증가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비아파트: 비아파트 착공은 3,223호로 전월 대비 32.4% 증가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21.2% 감소했습니다.


1-3. 분양과 준공
10월 분양(승인)은 20,416호로 전월 대비 0.1% 소폭 증가했으며, 수도권이 16,074호로 지방보다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습니다. 준공은 전월 대비 24.6% 감소하며, 공급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습니다.

(준공 현황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준공 현황 - 출처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2. 수도권 vs 지방: 주요 동향 비교

2-1. 수도권 주택 시장의 성장세
수도권은 10월 인허가와 착공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며 주택 시장의 중심임을 재확인했습니다. 인천은 전월 대비 1,030.2% 증가라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하며 수도권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되었습니다. 경기도 또한 인허가와 착공 모두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2. 지방 주택 시장의 도전 과제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성과를 나타냈습니다. 착공이 전월 대비 감소하며 건설 시장의 불안정성을 드러냈고, 준공 또한 감소세를 보이며 공급 부족 문제를 심화시켰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지방 주택 시장의 구조적인 문제와 맞물려 있습니다.



3. 아파트와 비아파트의 시장 흐름

3-1. 아파트 중심의 주택 시장
아파트는 주택 시장의 중심으로, 10월 전국 인허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강세를 이어갔습니다. 수도권은 177.3% 증가하며 아파트 수요의 집중 현상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습니다.

3-2. 비아파트 주택의 도전
비아파트 주택은 인허가와 착공에서 모두 감소세를 보이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이는 건축비 상승과 아파트 선호 현상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비아파트 주택 시장의 회복을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4. 2024년 주택 시장의 미래 전망

4-1. 착공 증가와 준공 감소의 의미
착공은 증가했으나 준공은 감소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건설 현장에서의 지연이나 수요-공급의 불균형을 나타내며, 시장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 간 격차는 시장 불안정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2. 건설 시장이 나아갈 방향
향후 주택 시장은 아파트 중심의 수요와 지역 간 균형을 고려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수도권의 강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도 지방 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 인허가, 착공, 준공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결론 및 요약

5-1. 현재 주택 시장의 특징
2024년 10월 주택 통계는 아파트 중심의 성장세와 수도권의 강한 회복세, 지방의 상대적 부진이라는 세 가지 주요 특징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주택 시장이 지역별, 유형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임을 시사합니다.

5-2. 미래를 위한 전략
향후 주택 시장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의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정책적 지원과 투자 확대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