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동산 거래량 증가와 지역별, 유형별 주택 거래 동향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며 2024년 10월의 매매 및 전월세 시장 트렌드를 자세히 설명합니다. 또한 미분양 주택 현황과 변화율을 상세히 다루고, 부동산 정보 시스템에서 관련 자료를 확인하는 방법도 제공합니다.
[ 목차 ] |
1. 2024년 10월 주택 매매 거래 동향 1-1. 월별 주택 매매 거래량 분석 1-2. 지역별 매매 거래량 및 증감률 1-3. 주택 유형별 매매 거래량 변화 2. 2024년 10월 전월세 거래량 분석 2-1. 전월세 거래량 요약 2-2.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비교 2-3. 임차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 3. 2024년 10월 미분양 주택 현황 3-1. 전국 미분양 주택 규모 3-2. 지역별 미분양 주택 증감 분석 3-3. 미분양 주택 규모별 변화 4. 부동산 통계 활용법 4-1. 부동산 통계 정보 시스템 안내 4-2.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 활용하기 |
10월 주택 통계 ( 2 )
2024년 10월, 한국 부동산 시장은 매매와 전월세 거래에서 새로운 변화와 트렌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택 매매와 전월세 거래량을 분석하고, 지역별 및 유형별로 세부적인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더불어 미분양 주택 현황까지 다루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부동산 시장의 주요 흐름을 짚어보겠습니다.
1. 2024년 10월 주택 매매 거래 동향
1-1. 월별 주택 매매 거래량 분석
2024년 10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총 56,579건으로 전월 대비 10.4% 증가하며, 전년 동월 대비 18.4% 증가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계 거래량은 547,54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하며 주택 매매 시장의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수도권 거래량은 25,011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26.4% 증가했으나, 전월 대비로는 3.2%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지방 거래량은 31,568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7%, 전월 대비 24.1% 증가하며 수도권 대비 더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1-2. 지역별 매매 거래량 및 증감률
서울 지역은 7,164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31.6% 증가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12.7% 감소했습니다. 이는 서울 지역의 높은 집값과 시장의 단기적 변화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큽니다. 지방은 거래량의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1-3. 주택 유형별 매매 거래량 변화
아파트 거래량은 42,914건으로 전체 거래량의 약 75%를 차지하며, 전년 동월 대비 21% 증가했습니다. 비아파트(단독주택, 연립주택 등)의 거래량은 13,665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7% 증가했지만,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2. 2024년 10월 전월세 거래량 분석
2-1. 전월세 거래량 요약
전국 전월세 거래량은 211,218건으로 전월 대비 11.1% 증가했습니다. 이는 임대차 신고제와 확정일자를 포함한 데이터로, 전년 동월 대비 0.4% 증가한 수치를 보였습니다. 월세 거래량은 전체 거래량 중 57.3%를 차지하며, 전세보다 월세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2-2. 지역별 전월세 거래량 비교
수도권 전월세 거래량은 142,971건으로, 전월 대비 11.8%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0.1% 감소했습니다. 서울의 전월세 거래량은 63,296건으로 전월 대비 10%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0.6% 증가하며 안정적인 거래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방의 전월세 거래량은 68,24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 증가했습니다.
2-3. 임차 유형별 거래량 및 증감률
임차 유형별로 살펴보면, 전세 거래량은 91,461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9% 감소했으나, 월세 거래량은 119,75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주택 시장에서 월세가 점차 주된 임대 형태로 자리잡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3. 2024년 10월 미분양 주택 현황
3-1. 전국 미분양 주택 규모
2024년 10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65,836호로 전월 대비 1.4% 감소하며 지속적인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주택 공급과 수요가 보다 균형적으로 조정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3-2. 지역별 미분양 주택 증감 분석
수도권의 미분양 주택은 13,948호로 전월 대비 0.4% 증가했지만, 지방은 51,888호로 전월 대비 1.9% 감소하며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3-3. 미분양 주택 규모별 변화
85㎡ 이하 소형 미분양 주택은 56,452호로 전체의 약 85%를 차지하며 전월 대비 2.1% 감소했습니다. 반면,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 주택은 9,384호로 전월 대비 2.7% 증가하며, 대형 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4. 부동산 통계 활용법
4-1. 부동산 통계 정보 시스템 안내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에 대한 상세한 통계 자료는 한국부동산원의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거래량, 가격 변화 등의 데이터를 제공하며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4-2.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 활용하기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 누리집은 개별 거래의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지역이나 주택 유형의 거래 내역을 확인하고, 시장 분석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2024년 10월 주택 시장은 거래량 증가와 함께 매매와 전월세 시장 모두에서 뚜렷한 변화를 보였습니다. 특히 수도권과 지방의 거래 양상 차이, 아파트와 비아파트의 거래 특성, 전세보다 월세가 우위를 차지하는 임차 시장 등은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 방향성을 보여주는 주요한 지표로 작용합니다.
더불어 미분양 주택 감소 추세는 주택 수급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주택 시장의 안정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과 수도권의 상대적 거래 감소와 대형 주택 선호 증가 등은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앞으로도 데이터 기반의 신뢰도 높은 부동산 분석을 통해 변화하는 시장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동산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4 대한민국 주거복지대전 」 성과 공유와 미래 정책 방향 (6) | 2024.12.11 |
---|---|
도심 내 양질의 공공주택 공급, 국토교통부가 앞장섭니다 (1) | 2024.12.11 |
2025년부터 달라지는 정비사업 정책 설명회 (3) | 2024.12.11 |
신축 건물 주소 : 자동 부여 제도 도입 (2) | 2024.12.09 |
2024년 10월 주택 통계 ( 1 ) : 주택건설 (2) | 2024.12.07 |
2024년 부동산 시장 분석 : 집값 상승 심리 vs. 초강력 대출 규제 (6) | 2024.12.07 |
청년월세 지원 정책 : 자격 요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완벽 가이드 (3) | 2024.12.05 |
“줍줍” 청약부터 가점 체계까지, 2024 청약제도 분석 (1)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