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2024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 신규 12곳을 발표하며, 총 3,218억 원을 투입해 쇠퇴지역 2,163만㎡를 재생하고 약 1,63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입니다. 주요 사업은 △혁신지구 △지역특화 △인정사업으로 나뉘며, 특히 비수도권(83%)과 인구 10만 이하 소도시(50%)를 중점 지원해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사업은 교통 환승 거점, 청년 창업 공간, 문화·관광 활성화 등 다양한 방향으로 추진됩니다.
[ 목차 ] |
1. 도시재생사업의 정의와 필요성 2. 2024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 개요 2-1. 혁신지구: 경제 거점으로의 탈바꿈 2-2. 지역특화: 지역 자산의 가치 극대화 2-3. 인정사업: 생활SOC로 주민 편의 개선 3. 도시재생사업의 주요 효과 3-1.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3-2. 주거환경 개선과 생활 인프라 확충 4. 지역 균형 발전의 청사진 5.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미래 계획 |
'24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 신규 사업지 현황
광역 | 기초 | 사업유형/ 사업비 |
기간 | 면적 (㎡) |
주요내용 |
인천 | 계양구 | 혁신지구 후보지 (사업비 미정) |
미정 | 미정 | 작전역 공영주차장을 활용하여 자동차 산업을 연계한 모빌리티 혁신업무·창업지원, 상생협력시설, 청년주거, 생활SOC, 입체환승센터 등 복합경제거점 조성 |
대전 | 대덕구 | 혁신지구 후보지 (사업비 미정) |
미정 | 미정 | 대덕구청 부지를 활용한 지역특화산업 지원시설, 한남대 캠퍼스 혁신파크와 연계한 청년창업 지원시설, 대전시 산하기관 이전 등을 통해 지역활성화 도모 |
경기 | 남양주시 | 혁신지구 후보지 (사업비 미정) |
미정 | 미정 | 사업성 부족으로 민간주도 개발이 어려운 지금·도농 재정비촉진지구 존치관리10구역을 공공주도 개발을 통해 주거·복지·생활편의 거점으로 조성 |
대구 | 달서구 | 지역특화/ 272.1억원 (국비 130억원) |
‘25~’28 | 502,504 | 골목상권 특화거리 조성과 주민, 청년, 상인이 함께할 수 있는 창업기반 시설 조성을 통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민·관·학과 전문가가 함께 창업 생태계 구축 및 골목상권 활성화 도모 |
강원 | 횡성군 | 지역특화/ 489.62억원 (국비 150억원) |
‘25~’28 | 141,465 | 철기시대를 특화의 테마로 설정, 고유자산을 활용한 관광콘텐츠 제공하는 철기히스토리움, 철기주거유구보호각, 둔내로터미널과 로컬브랜드 홍보 거점인 둔내로컬하우스 조성, 마을의 가치를 높여 지역 활성화 |
충남 | 서천군 | 지역특화/ 508.51억원 (국비 150억원) |
‘25~’28 | 301,000 | 인접한 생태전시거점 집객과 확보된 유휴 산업자산(구.미곡창고)을 활용하여 충청·전라권 어린이 포함 가족 단위 관광객을 유입하고, 중심상권 장항로 및 맛나로로 확산하여 기존점포 음식업종 강화, 빈점포 창업 지원 및 도시 브랜딩을 통한 지역 상권 활성화 도모 |
전남 | 장성군 | 지역특화/ 268.23억원 (국비 150억원) |
‘25~’28 | 281,482 | 국내 최대 인공조림지인 축령산 편백림 청정 자연 자원을 도심으로 확산시키고, ‘치유의 도시’, ‘편백의 도시’라는 도시브랜드를 확립하기 위해 편백 큰푸름센터, 창의 목공예센터, 늘푸름 길 조성 및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안전·방재사업 병행 |
경북 | 문경시 | 지역특화/ 964.56억원 (국비 150억원) |
‘25~’28 | 290,295 | 마을 문화역사와 빛을 테마로 한 공원 조성, 지역 자원을 활용한 양조장 정비, 방문객을 위한 숙박시설 조성 등 관광 기반을 구축하고 재해 취약지역의 노후시설과 집수리 지원을 통해 안전하고 활력 있는 체류형 지역관광 활성화 도모 |
제주 | 제주시 | 지역특화/ 285.3억원 (국비 150억원) |
‘25~’28 | 634,902 | 세화지구 역사문화자원(해녀항쟁 등 세화 해녀의 삶 스토리)을 활용한 문화관광 인프라(세화휴일센터, 로컬호텔, 세화휴일로드) 조성과 기존 타사업 시설/콘텐츠의 체계적인 연계로 ‘로컬 문화관광 명소 브랜드화’ 기반 구축 |
대구 | 달성군 | 인정사업/ 159.11억원 (국비 50억원) |
‘25~’27 | 3,253 | 50년 이상된 현풍읍 행정복지센터를 노인건강여가시설, 아동‧청소년 문화공간 구축 등 복합시설로 조성하여 지역의 오래된 역사적 공간 재창조라는 주민 자존감 회복 및 지역사회 발전 불균형 해소 |
강원 | 양양군 | 인정사업/ 108.7원 (국비 49.6억원) |
‘25~’27 | 1,617 | 노후화된 마을회관 및 보훈회관의 신축을 통해 지역 내 부족한 건강ㆍ문화ㆍ복지ㆍ여가 등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 생활SOC공간 조성 |
충북 | 음성군 | 인정사업/ 160.26억원 (국비 50억원) |
‘25~’27 | 6,233 | 지역 내 유일한 커뮤니티 시설 이전과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공공서비스 체질 개선을 통해 주민 삶의 질 향상 |
24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 신규 사업지 현황 (출처 : 국토교통부)
1. 도시재생사업의 정의와 필요성
도시재생사업은 쇠퇴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국가와 지역사회가 협력해 추진하는 종합 개발 프로젝트입니다. 과거의 낙후된 주거환경, 경제적 침체, 문화적 쇠퇴 등을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주목적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이러한 취지에서 2024년 하반기에 도시재생사업 신규 12곳을 발표하며, 총 3,218억 원의 투자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2. 2024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 개요
2-1. 혁신지구: 경제 거점으로의 탈바꿈
혁신지구는 지역 내 산업·상업·주거 기능을 통합한 경제 거점으로, 이번 사업에서 인천 계양, 대전 대덕, 경기 남양주가 선정되었습니다.
● 인천 계양: 이용도가 낮은 작전역 일대를 입체복합화하여 교통 환승 거점과 산업 복합 거점으로 조성합니다.
● 대전 대덕: 구청 부지를 활용해 청년 창업 공간을 마련하고, 인근 연구단지와 연계하여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예정입니다.
● 경기 남양주: 민간개발이 어려운 노후 주거 밀집지역을 주거재생혁신지구로 탈바꿈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신규 주택을 공급합니다.
2-2. 지역특화: 지역 자산의 가치 극대화
지역특화 사업은 각 지역의 고유한 역사, 문화, 산업 자산을 활용하여 활성화합니다.
● 문경시 가은읍: ‘빛’을 테마로 한 야간 미디어 특화 공원을 조성하고, 철로변 경관과 전통 시장을 개선하여 관광객 유치를 목표로 합니다.
● 제주시: 제주해녀항쟁터를 문화관광 거점으로 탈바꿈하고, 해녀문화 공연과 지역음식을 통해 독특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 장성군 장성읍: 축령산 편백림을 기반으로 편백 체험센터와 목공예 센터를 조성하여 생태교육과 관광을 활성화합니다.
2-3. 인정사업: 생활SOC로 주민 편의 개선
인정사업은 소규모 사업으로 쇠퇴 지역 주민들이 일상에서 필요로 하는 행정, 복지, 문화 서비스를 개선합니다.
● 충북 음성군: 행정복지센터와 디지털미디어 공간 등 복합 시설을 조성합니다.
● 강원 양양군: 마을회관과 보훈회관 등 주민 커뮤니티 시설을 신속히 구축합니다.
3. 도시재생사업의 주요 효과
3-1.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이번 사업은 지역 내 경제 활성화를 넘어 약 1,63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전망입니다. 창업지원 공간, 관광시설 개발 등을 통해 지역 주민들의 고용 기회를 확대하고 자영업자들의 경제 활동도 활성화됩니다.
3-2. 주거환경 개선과 생활 인프라 확충
노후 주택의 수리, 빈 점포 철거 및 리모델링 등을 통해 지역의 주거 및 생활환경을 개선합니다. 또한 주민공동이용시설 13개소와 문화·체육 공간을 추가로 마련하여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입니다.
4. 지역 균형 발전의 청사진
이번 도시재생사업은 비수도권 지역의 83%, 인구 10만 이하 소도시의 50%를 차지하며, 지역 균형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쇠퇴지역 주민들에게 경제적·문화적 활력을 제공하고, 지방 도시의 자립 기반을 강화합니다.
5.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미래 계획
국토교통부는 이번 도시재생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며, 사업의 경제적 효과가 빠르게 체감될 수 있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혁신적 아이디어와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확대할 방침입니다.
결론
2024년 하반기 도시재생사업은 단순한 도시 개발을 넘어, 쇠퇴지역의 재활성화를 통한 지속 가능하고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 정부와 지역사회가 협력해 추진하는 이번 프로젝트가 지역 균형 발전과 경제 활성화의 성공 모델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515
'부동산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권 서부의 새로운 중심지, 고양 창릉지구와 대곡 역세권 개발 (7) | 2024.12.28 |
---|---|
청년, 신혼, 고령 가구의 주거 실태 비교 분석 (5) | 2024.12.28 |
용인 국가산단,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2) | 2024.12.27 |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활력타운과 민관상생 투자협약 (6) | 2024.12.25 |
서울-부산을 잇는 중앙선 복선전철 개통, 대한민국 철도의 새 역사 (1) | 2024.12.21 |
부동산 임장 꿀팁 : 성공적인 투자로 가는 첫걸음 (11) | 2024.12.20 |
2025년 공시지가, 표준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주요 변화 분석 (0) | 2024.12.18 |
입주민을 위한 필독 가이드 : 하자 사례로 배우는 문제 해결법 (4)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