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소식

2025년 공공주택 25.2만 호 공급! 역대 최대 규모의 주택 공급 계획

by 임행부 2024. 12. 14.

 

 2025년, 국토교통부는 역대 최대 규모인 25.2만 호의 공공주택 공급을 목표로 하며, 국민 주거 안정과 건설 경기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들을 내놓았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공급 계획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고, 그 의미와 기대 효과를 살펴보겠습니다.

 

[ 목차 ]
1. 2025년 공공주택 25.2만 호 공급의 배경
1-1. 주거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
1-2. 공공기관의 협력과 역할

2. 2025년 공공주택 공급 목표와 세부 계획
2-1. 건설형 공공주택 착공 및 인허가 계획
2-2. 매입 및 전세임대주택의 특징

3. 신축매입임대의 혁신적인 모델
3-1. 도시 재개발과 신축매입임대의 효과
3-2.  서울의 주요 신축매입임대 사례

4. 공공택지 추가 확보 및 민간 지원 확대
4-1. 3기 신도시와 공공택지 활용
4-2. 민간 건설사 지원 정책

5. 공공주택 공급의 기대 효과
5-1. 주거 안정과 경제 활성화
5-2. 국민 삶의 질 향상

6. 정부의 다짐과 앞으로의 방향
6-1. 국민 주거 안정의 중요성
6-2. 지속 가능한 주택 정책의 방향
2025년 공공주택 25.2만 호 공급


1. 2025년 공공주택 25.2만 호 공급의 배경


1-1. 주거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부의 노력
주거 양극화는 무주택 서민과 취약 계층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주거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적극적으로 공공주택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

1-2. 공공기관의 협력과 역할
국토교통부는 한국주택토지공사(LH), 서울주택도시공사(SH),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주요 공공기관과 협력해 인허가 및 착공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마련했습니다.



2. 2025년 공공주택 공급 목표와 세부 계획


2-1. 건설형 공공주택 착공 및 인허가 계획
내년 공공주택 공급 목표는 14만 호의 인허가와 7만 호 이상의 착공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이는 올해보다 2만 호 증가한 수치로, 특히 상반기에 계획의 20% 이상을 착공하여 국민 주거 환경 개선에 속도를 낼 계획입니다.

2-2. 매입 및 전세임대주택의 특징
매입임대 6.7만 호와 전세임대 4.5만 호는 무주택 서민과 취약 계층을 위해 중점적으로 공급됩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중형 평형의 매입임대주택이 늘어나며 국민들의 다양한 주거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3. 신축매입임대의 혁신적인 모델


3-1. 도시 재개발과 신축매입임대의 효과
신축매입임대는 노후 상가나 나대지를 활용해 새로운 주택을 신속히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도시 재개발과 건설 경기 활성화에도 큰 효과를 가져옵니다.

3-2. 서울의 주요 신축매입임대 사례
서울에서는 상가 복합건물을 철거해 299호의 아파트를 신축하거나 나대지에 도시형 생활주택 132호를 공급하는 등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4. 공공택지 추가 확보 및 민간 지원 확대


4-1. 3기 신도시와 공공택지 활용
3기 신도시를 포함한 공공택지에서 내년 1.8만 호를 추가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총 5만 호의 공공주택 공급 기반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4-2. 민간 건설사 지원 정책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PF보증 확대를 통해 민간 건설사의 자금 조달을 지원하며, 한국부동산원은 공사비 분쟁 예방을 위한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5. 공공주택 공급의 기대 효과


5-1. 주거 안정과 경제 활성화
공공주택 공급 확대는 무주택 서민과 취약 계층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건설 경기 회복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5-2. 국민 삶의 질 향상
이번 공공주택 공급 확대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향상과 안정적인 주거 환경 제공에 크게 이바지할 것입니다.

 



6. 정부의 다짐과 앞으로의 방향


6-1. 국민 주거 안정의 중요성
국토교통부는 국민 주거 안정이라는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공공기관의 협력을 강화하고, 민간과의 균형 있는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주택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6-2. 지속 가능한 주택 정책의 방향
이번 계획은 단기적인 성과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도 안정적인 주택 공급 기반을 마련할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결론


2025년 공공주택 공급 계획은 역대 최대 규모로, 국민 주거 안정과 경제 회복이라는 두 가지 핵심 목표를 실현할 전망입니다. 공공주택 공급은 단순한 숫자를 넘어 국민 삶의 질을 향상하고, 지역 경제와 건설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정부와 공공기관의 노력이 국민 삶의 질 향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