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소식

중앙토지수용위원회, 국민 재산권 보호와 공익의 조화

by 임행부 2024. 12. 30.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이하 ‘중토위’)는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는 동시에 공익사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돕는 국가 기관입니다. 중토위는 토지수용 및 사용 절차에 대한 공익성을 심사하고, 수용재결과 이의재결을 통해 재산권 침해를 방지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합니다. 특히 2019년 공익성 심사 제도의 도입 이후, 중토위는 실질적인 공익성과 재산권 보장의 균형을 이루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목차 ]
1.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주요 역할 
1-1. 공익성 심사란 무엇인가? 
1-2. 공익사업과 재산권의 균형

2. 공익성 심사의 도입과 성과 
2-1. 공익성 심사의 필요성 
2-2. 2024년 공익성 심사 주요 사례

3. 국민 재산권 보호와 중토위의 역할 
3-1. 수용재결과 이의재결의 사례 
3-2. 재산권 침해 방지를 위한 제도적 노력

4.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미래 방향성 
4-1. 국민 권익 보호와 공익사업의 효율화 
4-2. 공익성 강화로 지속 가능한 개발 추구

 

중앙토지수용위원회, 국민 재산권 보호와 공익의 조화


1.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주요 역할


1-1. 공익성 심사란 무엇인가?
공익성 심사란 개발사업 시행 시 토지나 건물을 수용하기에 앞서 해당 사업이 공공의 이익을 충분히 충족하는지를 심사하는 절차입니다. 이는 무분별한 토지수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국민의 재산권 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로, 도시계획, 법률, 토지행정 등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사업의 타당성을 면밀히 검토합니다.

1-2. 공익사업과 재산권의 균형
공익사업 시행자는 먼저 사유지 소유자와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인 토지 취득을 우선적으로 시도해야 합니다.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수용재결을 통해 토지를 강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지만, 이는 공익성이 충분히 입증될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심사를 통해 수용권 남용을 방지하고, 토지소유자의 권리를 보호합니다.


< 토지 보상․수용 절차 >

토지 보상․수용 절차 / 출처 : 국토교통부



2. 공익성 심사의 도입과 성과


2-1. 공익성 심사의 필요성
2019년 하반기에 도입된 공익성 심사제도는 기존 자문 의견 수준의 ‘의견청취’ 방식을 대체하며 실효성을 강화했습니다. 특히, 개인의 재산권 제약을 수반하는 공익사업의 특성상, 사업 시행자는 공익성과 불가피성을 동시에 입증해야 하며, 중토위는 이를 체계적으로 심사하여 국민의 권리를 보호합니다.

2-2. 2024년 공익성 심사 주요 사례
올해 중토위는 공익성 심사 2,684건, 수용재결 1,176건, 이의재결 1,675건을 심의 및 의결했습니다. 대표 사례로는 ○○도지사가 요청한 산업단지 개발 사업 심사가 있습니다. 해당 사업은 전체 면적의 86.5%가 사유지임에도 불구하고, 사유지 확보 계획이 미흡하다는 이유로 공익성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판단을 받았습니다. 이후 사유지 확보 방안을 보완한 뒤 재심의를 거쳐 허가를 받았습니다.

 



3. 국민 재산권 보호와 중토위의 역할


3-1. 수용재결과 이의재결의 사례
중토위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재산권 보호와 공익성을 조화롭게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법 공장으로 간주될 수 있었던 한 사업장에 대해 중토위는 법적 요건을 면밀히 검토하여 영업손실 보상을 인정했습니다. 이는 소규모 사업자와 같은 약자의 권리를 보호하려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2. 재산권 침해 방지를 위한 제도적 노력
이의재결 사례로는 특정 건축물이 개발사업에 필수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수용을 기각한 사건이 있습니다. 해당 사건에서 중토위는 수용권의 남용을 방지하며, 토지소유자의 권익을 우선적으로 보호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는 중토위가 단순 행정적 의결 기관이 아닌, 국민 권익 보호를 위한 실질적 조정자임을 보여줍니다.



4.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미래 방향성


4-1. 국민 권익 보호와 공익사업의 효율화
중토위는 앞으로도 공익성 심사와 재결 업무의 공정성을 높이고,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한 제도적 노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특히 공익성과 재산권 보호가 상충하는 상황에서, 혁신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두 요소의 조화를 이루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4-2. 공익성 강화로 지속 가능한 개발 추구
중토위는 단순한 토지수용을 넘어, 지속 가능한 공익사업 추진과 국민 권익 보호를 병행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하고, 장기적인 국가 발전을 도모할 것입니다.


결론


중앙토지수용위원회는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공익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공익성 심사 제도를 통해 무분별한 토지수용을 억제하며 국민 권익을 최우선으로 보호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공익성과 재산권 보호의 균형을 실현하며, 신뢰받는 권익 보호기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공정한 심사와 재결로 지속 가능한 발전과 국민 신뢰를 강화할 것입니다.







출처 :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90545